내 컴퓨터에 고스트 블로그 시스템을 설치하는 10단계

내가 운영하는 고스트 블로그에서 태그를 카테고리처럼 사이드바에 보여주면 좋겠고, url을 입력할 때 분류코드 같은 것을 같이 입력하여 포스트의 리스트를 보여줄 때 이 분류코드로 정렬하는 기능을 넣고 싶어서 테마를 커스터마이징하는 작업을 짬짬이 진행해 보려고합니다.
테마를 커스터마이징하는 작업에는 고스트를 로컬에 설치하고 작업을 하는 것을 추천하기 때문에 이 작업을 먼저 진행합니다.
- npm을 설치합니다. — dreamer@pop-os:~$ sudo apt install npm
- node.js를 버전 20 이상으로 설치하기 위해 nvm을 설치합니다.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3/install.sh | bash - nvm 적용을 위해서 터미널을 종료하고 다시 시작합니다.
- 노드의 버전을 20 이상으로 설치합니다. --- nvm install 20
- 새로 설치한 버전을 사용하는 것으로 지정합니다. --- nvm use 20
- 제대로 작업이 되었는지 노드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 node -v
- 로컬 고스트 시스템용 폴더를 하나 만듭니다.
dreamer@pop-os:~$ mkdir ghost-local
dreamer@pop-os:~$ cd ghost-local/
dreamer@pop-os:~/ghost-local$ ls
dreamer@pop-os:~/ghost-local$ - 빈 폴더에 로컬 고스트 시스템을 설치합니다.
dreamer@pop-os:~/ghost-local$ ghost install local - 설치하는 과정이 끝나고 웹브라우저에서 맨 아랫줄에 보이는 주소로 접속합니다.
http://localhost:2368/ghost/ - 이제 접속한 화면에서 테마 작업용 고스트 블로그를 하나 개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