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AM 4GB로 AI 그림을? 스테이블 디퓨전 도전기! - 첫 번째 이야기
미드저니 vs 스테이블 디퓨전, 직접 비교해보자!
요즘 AI 그림 생성이 너무 흥미로워서 저도 직접 사용해보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미드저니(MidJourney)를 사용하고 있었어요. 미드저니는 웹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술적인 느낌이 강한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게 장점이에요. 그런데 최근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이 자유도와 커스터마이징 면에서 강력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래서 직접 비교해보려고 했죠!
🚀 1. 스테빌리티 매트릭스를 시도했지만… 도커로 가자!
처음에는 스테빌리티 매트릭스(Stability Matrix)를 시도해보려고 했어요. 하지만 기대를 잔뜩 안고 실행해보니 제 컴퓨터 사양에서는 실행을 못했어요.
- 그래픽카드 VRAM이 부족해서 실행 불가!
- 드라이버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함
그래서 아쉽지만 스테빌리티 매트릭스는 포기할 수밖에 없었어요. 하지만 스테이블 디퓨전에 대한 호기심은 멈추지 않았어요. 그래서 기본 설치를 시도하는 대신, 도커를 이용해 실행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꾸었어요. 도커를 쓰면 운영체제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실행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거든요. 결국 저는 스테이블 디퓨전을 도커로 직접 설치하는 방향을 선택했어요!
🎨 2. 왜 스테이블 디퓨전을 선택했을까??
미드저니도 충분히 좋은데, 왜 굳이 스테이블 디퓨전을 시도하려고 했을까요??
- 내 컴퓨터에서 직접 실행 가능! (클라우드 의존 X, 비용 절감)
- 완전 무료! (미드저니는 유료)
- 세부적인 설정과 커스터마이징 가능! (해상도, 세부 조정 등)
하지만 문제는 제 컴퓨터 사양이 너무 낮다는 점이었어요.
🖥️ 3. 제 컴퓨터 사양, 가능할까??
한 번 확인해볼까요?
- CPU: Intel Core i5-7500 @ 3.40GHz
- 메모리: 16GB
- 그래픽카드: NVIDIA GTX 1650 (VRAM 4GB)
스테이블 디퓨전은 보통 최소 VRAM 6GB 이상을 요구하는데, 저는 4GB라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실행하기엔 무리였어요.
🛠️ 4. 해결책: 도커로 최적화된 환경 만들기!
기본 도커 이미지로 실행해보니 여전히 성능이 부족했어요. 그래서 생각했어요.
'그럼 내 사양에 맞게 최적화된 도커 이미지를 직접 만들어보자!'
이렇게 하면:
-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해서 가볍게 만들 수 있고,
- VRAM이 적어도 실행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 최신 드라이버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최적의 세팅을 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 5. 다음 단계는??
이제 목표는 제 사양에 맞춘 도커 이미지를 만드는 것!
다음 글에서는 어떻게 도커 이미지를 만들었는지, 그리고 실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이야기해볼게요!
혹시 저처럼 낮은 사양으로 고민하고 있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방법은 언제나 있으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