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p' - 원격으로 복사하기 초보도 할 수 있다

'scp' - 원격으로 복사하기 초보도 할 수 있다
"작은 도구도 큰 변화를 만든다." – 벤저민 프랭클린

“내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친구 컴퓨터로 보내고 싶어! 근데 USB는 어디 갔지? 이메일로 보내기엔 파일이 너무 커!”

이럴 때 쓰는 도구가 바로 scp 명령어예요. 🚀


'scp'가 뭐냐고요?

  • Secure Copy(보안 복사)의 줄임말이에요.
  • 인터넷을 통해 내 컴퓨터에서 친구 컴퓨터로 자료를 안전하게 전송해 줘요.
  • USB 없이도 자료를 주고받을 수 있는 마법 같은 도구랍니다.

'scp'를 쓰는 기본 레시피!

여러분, 요리책의 레시피처럼 scp도 정해진 순서대로 입력해야 해요.
그 기본 공식은 이렇게 생겼답니다:

scp [옵션] [소스] [대상]

이게 뭔지 알쏭달쏭하다고요? 걱정 마세요!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


공식 속 재료들:

  1. 옵션: 약간의 특별한 요구사항이 있을 때 사용하는 특별한 향신료 같은 첨가물!
    (예: "디렉토리를 통째로 복사해줘" 같은 요청)
  2. 소스: 보내고 싶은 자료가 있는 장소예요.
    ("출발지"라고 생각하면 돼요!)
  3. 대상: 자료를 받을 장소예요.
    ("도착지"라고 보면 돼요!)

예제로 배우기 👀

1️⃣ 내 컴퓨터에서 친구 컴퓨터로 파일 보내기

"내 사진을 친구의 컴퓨터로 보내고 싶어요!"

scp 내사진.jpg 친구이름@친구 컴퓨터 인터넷 주소:/도착폴더

쉽게 풀어서

  • 내사진.jpg: 보내고 싶은 자료 (소스)
  • 친구이름: 친구 컴퓨터의 사용자 이름
  • 친구 컴퓨터 인터넷 주소: 친구 컴퓨터 주소 (예: 192.168.1.10)
  • /도착폴더: 친구가 자료를 받고 싶은 폴더

2️⃣ 친구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로 파일 가져오기

"친구가 준 자료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고 싶어요!"

scp 친구이름@친구 컴퓨터 인터넷 주소:/친구폴더/자료.zip 내폴더

쉽게 풀어서

  • 친구폴더/자료.zip: 친구가 보내준 자료가 있는 장소 (소스)
  • 내폴더: 내 컴퓨터에서 자료를 보관할 장소 (대상)

3️⃣ 특별한 옵션 추가하기

"파일이 아니라 폴더를 통째로 보내고 싶어요!"
이럴 땐 -r이라는 옵션을 넣어줘요.

scp -r 내폴더 친구이름@친구 컴퓨터 인터넷 주소:/도착폴더

-r: 폴더와 그 안의 모든 파일까지 한 번에 복사해 줍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쉬워요!

  • 소스는 “보내고 싶은 자료가 있는 곳”
  • 대상은 “받고 싶은 곳”
  • scp가 둘 사이의 "다리"가 되어 자료를 전송해 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