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에 올리고 싶은데...

깃허브에 올리고 싶은데...
“도전을 멈추는 순간, 성공도 멈춘다.” – 헨리 포드

🧑‍💻 깃허브에 내 프로젝트를 올려야 하는데, 로그인도 안 된다면?

"아니, 왜 안 되는 거야? 분명히 깃허브 비밀번호를 입력했는데, 계속 실패하잖아!"

소연이는 깃허브에 자신의 프로젝트를 올리려다 벽에 부딪혔어요. 터미널에서 git push 명령을 실행하자, 깃허브 계정 정보를 입력하라고 나왔죠.

🔑 비밀번호를 입력했지만...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깃허브 비밀번호 인증이 2021년에 사라졌다고?😱"

소연이는 당황했어요. "그럼 이제 어떻게 해야 하지? 깃허브에 내 프로젝트를 못 올리는 거야?!"

당연히 방법이 있죠! 🔥 이제 Personal Access Token(PAT) 또는 SSH 키를 사용해야 해요. 소연이와 함께 차근차근 따라가 볼까요? 😆


1️⃣ 먼저 깃허브에 저장소부터 만들어야 해요!

깃허브와 연동하기 전에 먼저 깃허브에 저장소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

GitHub 저장소 만드는 방법

  1. GitHub에 로그인하기
  2. 오른쪽 상단의 + 버튼 클릭 → New repository 선택
  3. Repository name (예: my-project) 입력
  4. Public 또는 Private 선택
  5.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체크 해제
  6. Create repository 버튼 클릭!

🎉 완료! 이제 이 저장소와 내 컴퓨터를 연결하면 돼요!


2️⃣ HTTPS 방식으로 연동하기 (Personal Access Token 사용)

소연이는 비밀번호 대신 'Personal Access Token(PAT)'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깃허브는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 인증을 없앴거든요.

GitHub Personal Access Token 발급하기

  1. GitHub 토큰 생성 페이지로 이동 : 깃허브 오른쪽 위에 있는 계정 클릭 → 셋팅스 클릭 → 개발자 설정 클릭→ Personal access tokenstokens (classic)
  2. Generate new token (classic) 클릭
  3. Note: "Ubuntu GitHub Token" (원하는 이름 입력)
  4. Expiration: "No expiration" (필요하면 유효기간 설정 가능)
  5. Scopes(권한): repo, workflow, admin:repo_hook 체크
  6. 토큰 생성 후 복사! (ghp_xxxxxxxxxxxxxxxxxxxxxxxxxxxx 형태)

💡 주의! 이 토큰은 다시 볼 수 없어요. 꼭 안전한 곳에 저장하세요!

GitHub과 연동하기

터미널을 열고,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Hub과 연결해요.

cd ~/my-project  # 내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git init  # Git 저장소 초기화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my-project.git

🔄 토큰을 사용해 원격 저장소 설정 변경

git remote set-url origin https://<your-token>@github.com/사용자명/my-project.git

📌 <your-token>에는 아까 발급한 토큰을 입력하세요!

이제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릴 수 있어요!

touch README.md
echo "# My Project" > README.md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push -u origin main

🚀 완료! 이제부터는 비밀번호 대신 토큰을 사용해 깃허브에 푸시할 수 있어요.


3️⃣ SSH 방식으로 연동하기 (더 편리한 방법!)

소연이는 매번 토큰을 입력하는 것이 귀찮아서 SSH 키를 사용하면 한 번 설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SSH 방식은 비밀번호나 토큰 입력 없이 자동으로 인증해 줘요! 😆

SSH 키 생성하기

  1. SSH 키가 있는지 확인
ls ~/.ssh/id_rsa.pub
  1. 없다면 새로 생성
ssh-keygen -t rsa -b 4096 -C "이메일@example.com"

(Enter를 연속으로 눌러 기본 설정 유지)

  1. SSH 에이전트 실행 후 키 추가
eval "$(ssh-agent -s)"
ssh-add ~/.ssh/id_rsa

GitHub에 SSH 키 등록하기

  1. SSH 공개 키 확인 후 복사
cat ~/.ssh/id_rsa.pub
  1. GitHub SSH Key 설정 페이지 이동
  2. "New SSH Key" 클릭 → "Key"에 복사한 내용 붙여넣기
  3. "Add SSH Key" 클릭

GitHub 원격 저장소를 SSH로 변경

  1. SSH 접속 테스트
ssh -T [email protected]

(성공하면 Hi 사용자명! You'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메시지 출력!)

  1. 원격 저장소 URL을 SSH 방식으로 변경
git remote set-url origin [email protected]:사용자명/my-project.git
  1. 커밋 후 푸시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push -u origin main

🎉 완료! 이제 SSH 키를 사용해 편리하게 깃허브와 연동할 수 있어요! 🚀


4️⃣ HTTPS vs SSH, 무엇이 더 좋을까? 🤔

방식 HTTPS (토큰) SSH (키 인증)
보안 안전함 더 강력한 보안
사용성 매번 토큰 입력 필요 한 번 설정하면 편리
연동 과정 간단한 설정 SSH 키 생성 필요
추천 대상 초보자, 빠른 설정 필요 장기적인 사용

✔️ 빠르게 설정하려면? HTTPS (토큰 방식) ✔️ 장기적으로 편하게 쓰려면? SSH 방식


🎯 마무리하며...

소연이는 이제 깃허브에 자신의 프로젝트를 문제없이 올릴 수 있게 되었어요! 🚀 깃허브 비밀번호 대신 토큰 또는 SSH 키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고, 앞으로는 쉽게 연동할 수 있을 거예요. 여러분도 함께 성공했나요? 😆

🔥 이제 깃허브와 우분투를 자유롭게 활용해 보세요!